돈이야기/월간 가계부

[20대 가계부] 사회초년생 가계부 쓰는법 feat. 뱅크샐러드

포도리씨 2020. 3. 22. 12:46

 

 

 안녕하세요! 

 봄이 찾아온  따뜻한 일요일 아침입니다 : ) 

 봄이 찾아오듯 일상의 회복이 어서 왔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의 컨텐츠는 20대 대학생 / 사회초년생 / 신입사원분들을 위한 가계부 쓰는 방법입니다. 

 저는 가계부를 작성한지 2년정도 되었는데, 제 가계부를 보여드리면서 설명을 해드리려구요!! 우와아 (물론 일부.. ^^)

 

근데 가계부를 작성하기전에

왜 가계부를 써야하나요? 라는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왜냐면 저 역시도.... 대학생시절에는 펑펑 돈을 쓰곤 했거든요.

어차피 쓸거 ~~ 걱정안하고 쓰자~~~~ 라는 생각으로 쓰다가 돈이 모자라면 

저금해둔거 빼 쓰고 그랬습니다... 

 

 

1. 가계부 왜 써야하나요 ?  

가계부를 쓴다

-> 나의 소득 / 지출 규모 파악이 가능하다 (내가 매월 얼마의 수입이 평균적으로 들어오고, 

매월 평균적으로 얼마정도 사용하는지 알 수 있다 ) 

-> 어디에 내가 쓸데없는 돈을 많이 지출하는지 확인 가능하다  (충동구매같은)

 

여기서 쓸데 없는 돈이라 함은 ,, 내가 물건을 구입했을 때 물건이 주는 기쁨 / 행복이 없이 그냥 단순히 구매만 하는 행위 자체를 의미합니다. 꼭 필요한 생필품 같은거 말구 앗 저건 사야해 이런 충동구매같은걸 의미하는데

저는 이커머스에서 일하다보니 반짝이는 갖고싶은 상품들이 정말 많더라구요. 근데 이걸 샀는데 택배가 도착했는데 

필요가 없는거에요. 쇼핑을 하는데 즐거움이 없는거에요. 저는 진짜 필요해서 이 물건을 구입한게 아니라 (설령 즐거움일지라도) 저에게 즐거움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있었어요. 그래서 이런건 불 필요한 소비라고 생각합니다. 

 

-> 결론 : 우리는 한정된 자원(돈)을 가지고 있어서

쓸데없이 지출하는 돈을 줄이고, 내가 만족감이 높은 소비를 통해 돈을 더 잘 사용할 수 있다 ! 

 

돈을 더 잘 쓰기위해서 가계부를 쓴다는 약간 역설적인 제 결론 입니다.  

 

 

 

2. 그럼 뭐로 써야 하나요?

가계부를 쓰는 다양한 방법이 있죠.

엑셀파일이나 종이 가계부에 수기로 입력하셔도 되고

요즘에는 결제하면 자동으로 인식해주는 가계부 어플리케이션도 많잖아요. 

저도 2~3가지를 사용해보았지만 뱅크샐러드를 사용했을 때 저는 만족했어요.

( 앱스토어에 가계부라 검색하면 다양한 앱이 나오니까 개인취향에 맞게 사용하시구용 )

 

 

 

만족한 이유는 

1. 연동이 빠르고 정확하다 ( 카드/ 은행 /보험  등 다됨)

2. 깔끔하고 보기 편하다. 

3. 수기로 수정이 가능하다. 라는 점이었습니다. 

 

뱅크샐러드를 앱에 설치하시고, 그리고 금융 공인인증서나 은행별 id/pw를 연동시키면

자동으로 카드 사용이 앱에 뜨게 됩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1) 맨왼쪽 : 신용카드 사용현황 

2) 카테고리별 사용현황 -> 자동으로 뙇뙇 해줍니다 (저는 이번달에 이사를 하는 바람에 생활쪽에 비중이 엄청 커요) 

3) 일별 가계부 현황  

 

 

우리가 하나하나 오늘 뭐썼는지 기억하지 않아도

가계부 어플 (뱅크샐러드)가 열심히 일해줘서 

카테고리 분류만 확인해주면 됩니다 !! 

 

 

 

공인인증서 귀찮으실 수있죠.. 그런데 한번 해보시길 간곡-히 추천드립니다. 

 

 

뱅크샐러드가 귀여운 기능이라고 생각하는데.. 금융비서가 있어요. 

이렇게 매주 비서님이 칭찬도 해주시기도 하지만... 경고를 해주시기도 합니다 ^^ 

 

3. 그럼 그냥 쓰면 되나요? 

 

그냥 하루에 쓴돈 입력만 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라고 질문하실거 같아요.

 

통장 쪼개기 많이 들어보셨을거에요.

우리의 목표는 쓸데없는 돈이 빠져나가는걸 막는거잖아요.

매일 매일 소비하는데 이걸 잘 체크하려면

즉,  돈을 어디에, 얼마나 쓰는지 잘 알기 위해서는 통장을 쪼개면 더 잘보인답니다. 

 

 

우선 제 통장들을 먼저 공개해드릴게요.

제 입출금 통장은  이렇게 고정비통장 / 생활비통장 / 월급통장 이렇게 분류를 했는데요. 

 

 

저는 28살 자취하는 여성이구요.

그래서 다른 분들보다 "고정비" 지출이 꽤 큰편이에요. 

 

그래서 저는 월급통장 / 고정비 통장 / 생활비통장 / 비상금 통장으로 분류를  했어요. 

 

월급이 들어오면 ----> 제 나름대로 기준에 따라 통장에 돈을 분산시켰어요! 

 

 

앗, 그런데 제 비상금 통장이 안보이죠?

왜냐면 뱅크샐러드에 아직 카카오페이증권 연동이 안되더라구요..

제가 이전 포스팅한 카카오페이증권 특판계좌 (5%) 계좌에 저는 비상금을 마련해뒀는데..

뱅크샐러드에서 연동이 안되어서 제가 수기로 입력했어요. 

열일하는 뱅샐 직원분들이 어서 연동되게 해주셨으면 좋겠어용 ㅎㅎ

 

계좌/ 현금 추가 하신 뒤 직접 입력을 통해 추가할 수 있어요! 

 

그럼 이렇게 통장 쪼개기를 했으니

제가 사용할 수 있는 돈은 생활비 통장에만 있는거에요.

 

Q. 근데 체크카드면 주어진 금액만 사용이 가능한데, 신용카드는  아니잖아요?

A. 그래서 저는 생활비통장에 신용카드를 사용한 만큼 선결제를 하곤 합니다..

경각심을 저에게 주려고요... ^^ 

저는 다음달에 신용카드 비용이 왕창 빠져나가는 그 아픔을 한번에 견디기엔 연약해서요.

 

Q.저는 신용카드/체크카드로 통신사 할인을 받고 있는데 .. 고정비 통장에 두면 할인을 못받는게 어떻게 하죠 ? 

A. 통장 분류만 하고, 생활비통장에서 그 카드가 결제가 되면 그 금액만큼 고정비통장에서 -> 생활비 통장으로 이동시킵니다. 번거로우실거 같다구요..? 통장 잔고 얼마나 남았는지 체크하는거랑 똑같아요^^ 

 

 

 

 

추가로 제가 사용하고 있는 카드를 설명드리면 

저는 메인 신용카드 1개(롯데 라이킷펀), 서브 체크카드 1개(케이뱅크 네이버페이 체크카드)를  사용하고 있어요.  

카드 상세 포스팅을 보시려면 20대 체크카드 추천 / 20대 신용카드 추천 포스팅을 보시면 됩니다! 

 

 

- 월급 통장 

- 고정비 통장 : 신용카드 자동이체 걸어둠 

- 생활비 통장 : 케이뱅크

( GS25 편의점 이체 수수료 무료라서 입출금 빼기 편하고, 계좌 송금 시 카카오페이나 토스처럼 월 10회 제한이 없음) 

- 비상금통장 : 카카오페이증권 연 5% 특판통장에 가입 

(적금 통장 뿐만 아니라 비상금 통장에 돈도 일하게 만들었어요. 3월 한달동안 벌써 수익이 4,154원이네요!

매주 월요일마다 이자가 1천원 내외로 쏠쏠하게 들어온답니다)  

 

 

 

* 카카오페이증권 특판계좌 알아보기 

 https://seeding-daily.tistory.com/m/15

 

[사회초년생 재테크] 카카오페이 증권계좌 개설방법 (특판 연5%)

안녕하세요. 오늘은 별도 가입 없이 계좌에 돈만 넣어둬도!! 연 5%, 월 0.4166%의 이율을 제공하는 "카카오페이증권 계좌"를 소개해드려고 합니다. 즉, 월 1백만원을 계좌에 두면, 월 4,166원씩 (full) 들어온다..

seeding-daily.tistory.com

 

 

 

오늘은 가계부를 왜 써야하는지, 어떤 방법으로 써야하는지, 

어떻게 쓰면 좋은지 간략하게 알아봤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사회초년생 여러분! 우리 잘 소비해서 더 행복해져요 : ) 

저는 점심으로 짜파게티를 먹으러 갑니다. 안녕히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