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포스트는 한 청년의 묵상이며, 본문의 해석이 개인의 해석인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오늘의 Q.T 본문 : 마태복음27장 1절 ~ 10절 말씀
[말씀 본문] - 개역개정
예수를 빌라도에게 넘기다
1 새벽에 모든 대제사장과 백성의 장로들이 예수를 죽이려고 함께 의논하고
2 결박하여 끌고 가서 총독 빌라도에게 넘겨 주니라
유다가 목매어 죽다
3 그 때에 예수를 판 유다가 그의 정죄됨을 보고 스스로 뉘우쳐 그 은 삼십을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에게 도로 갖다 주며
4 이르되 내가 무죄한 피를 팔고 죄를 범하였도다 하니 그들이 이르되 그것이 우리에게 무슨 상관이냐 네가 당하라 하거늘
5 유다가 은을 성소에 던져 넣고 물러가서 스스로 목매어 죽은지라
6 대제사장들이 그 은을 거두며 이르되 이것은 핏값이라 성전고에 넣어 둠이 옳지 않다 하고
7 의논한 후 이것으로 토기장이의 밭을 사서 나그네의 묘지를 삼았으니
8 그러므로 오늘날까지 그 밭을 피밭이라 일컫느니라
9 이에 선지자 예레미야를 통하여 하신 말씀이 이루어졌나니 일렀으되 그들이 그 가격 매겨진 자 곧 이스라엘 자손 중에서 가격 매긴 자의 가격 곧 은 삼십을 가지고
10 토기장이의 밭 값으로 주었으니 이는 주께서 내게 명하신 바와 같으니라 하였더라
[말씀 본문] - 새번역
1 새벽이 되어서, 대제사장들과 백성의 장로들이 모두 예수를 죽이기로 결의하였다.
2 그들은 예수를 결박하여 끌고 가서, 총독 빌라도에게 넘겨주었다.
3 그 때에, 예수를 넘겨준 유다는, 그가 유죄 판결을 받으신 것을 보고 뉘우쳐, 그 은돈 서른 닢을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에게 돌려주고,
4 말하였다. "내가 죄 없는 피를 팔아 넘김으로 죄를 지었소." 그러나 그들은 "그것이 우리와 무슨 상관이요? 그대의 문제요" 하고 말하였다.
5 유다는 그 은돈을 성전에 내던지고 물러가서, 스스로 목을 매달아 죽었다.
6 대제사장들은 그 은돈을 거두고 말하였다. "이것은 피 값이니, 성전 금고에 넣으면 안 되오."
7 그들은 의논한 끝에, 그 돈으로 토기장이의 밭을 사서, 나그네들의 묘지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8 그 밭은 오늘날까지 피밭이라고 한다.
9 그래서 예언자 예레미야를 시켜서 하신 말씀이 이루어졌다. "그들이 은돈 서른 닢, 곧 이스라엘 자손이 값을 매긴 사람의 몸값을 받아서,
10 그것을 주고 토기장이의 밭을 샀으니, 주님께서 내게 지시하신 그대로다."
[말씀 본문] - 메시지성경
유다의 자살
1-2 동틀 무렵, 모든 대제사장과 종교 지도자들이 모여서 예수를 죽일 모의를 마무리 지었다. 그들은 예수를 결박해서 총독 빌라도에게 끌고 갔다.
3-4 예수를 배반한 유다는, 그분에게 유죄 판결이 내려진 것을 알았다. 양심의 가책을 이길 수 없었던 그는, 은화 서른 개를 대제사장들에게 돌려주며 말했다. “내가 죄를 지었소. 내가 죄 없는 사람을 배반했소.” 그러나 그들이 말했다. “우리가 알 바 아니다. 그것은 너의 문제다!”
5 유다는 은화를 성전 안에 던지고 떠났다. 그는 밖으로 나가서 목을 매어 죽었다.
6-10 대제사장들이 은화를 집어들었으나, 그것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막막했다. “살인의 대가로 받은 이 돈을 성전에 헌금으로 바치는 것은 옳지 않소.” 그들은 그 돈으로 ‘토기장이의 밭’을 사서 노숙자의 묘지로 쓰기로 결정했다. 그래서 그 밭에 ‘살인의 밭’이라는 이름이 붙었고, 지금까지도 그렇게 불리고 있다. 그리하여 예레미야의 말이 현실이 되었다. 그들이 은화 서른 개, 이스라엘 자손이 값을 매긴 이의 몸값을 받아서 그것으로 토기장이의 밭을 샀다. 그들은 자신들도 모르게 하나님의 지시에 정확히 따랐던 것이다.
[묵상 포인트]
1. 가룟유다와 대제사장
해당 본문은, 예수님을 판 가룟유다가 죄책감을 느껴 대제사장들에게 가지만
대제사장들은 유다의 후회를 외면하는 내용이다.
대제상들은 유다가 뿌린 돈을 토지를 사서, 노숙자들의 묘지를 샀고
예레미아의 말이 성취가 되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1-1. 유다
유다가 예수님을 팔아넘긴 후 목을 매달아 자살하는 건 알고 있었는데
대제사장들에게 후회하며 돈을 다시 건넨건 몰랐다.
근데 후회를 할 뿐 회개를 하지 않았다고 큐티 해석본문에 적혀 있었는데
내가 한 잘못에 대해서, 나의 죽음이 모든 것을 책임 질 수 있다고 생각했던 모양이다.
현시대에도 많은 사람이 자신의 죽음으로 자신의 죄를 덮으려고 하는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1-2. 대제사장
대제사장에게는 두가지 모습이 나온다.
첫번째는, "그것이 우리와 무슨 상관이요? 그대의 문제요" 라고 말했던 냉정하고 차가운 모습
두번째는, 유다의 은 30전을 성전에 헌금으로 할 수 없다며, 할 수 있는 거룩함/율법을 유지하려고 하는 모습
나에게는 이 두모습이 참 대조적으로 느껴진다.
유다가 후회할때 예수님이였다면 저렇게 내치시지 않으셨을텐데라는 생각과
같은 사람이라고 무색할 정도로, 냉정하게 돈은 받되 율법적으로 사고하는 대제사장의 모습들
근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은 그들은 느끼지 못했지만 이 모든것이 하나님의 섭리안에, 예수님의 계획안에, 순종안에 있다고 말하고 있다는 것.
2. 내 삶과 연결
2.1 나에게 대제사장 같은 모습은 없나?
음.... 있다. 내로남불이라는 말처럼 나에게는 관대하고, 남에게는 엄격한 그런 나의 모습들이 있다.
물론 나는 좀 착하게 산다고 자만하는데 ㅎㅎ
남이 하는 잘못은 어떻게 사람이 그래? 라고 반응하면서, 내가 하는 잘못에는 사람이 살다보면 그럴수도있지라고 생각하는 것들
사실 살다보면 모든 도덕적 기준을 준수하여 살아가는 것이 불가능하다. 왜냐 그건 개인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예를 들면 회사에서 개인적인 인쇄를 하는 것. 이게 무조건 나쁜 것이라고 말하고 싶은게 아니라
그걸 괜찮다/안괜찮다 판단하는 기준이 너무나 개인적이라는 것이다.
법 이외에 살다가보면 개인적인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는 것들이 엄청 많다는 거다.
2.2 모든 것은 하나님의 섭리라고 믿나?
어떤 유튜브 영상을 보다가, 우리는 3차원의 세계에 살고있지만
4차원의 세계도 있지 않을까? 4차원의 세계는 어떤 모습인가? 라고 설명하는 영상을 본적이 있다.
그 영상을 보면서 3차원에 사는 인간은. 내가 다 볼수있고 알고 경험하고 느끼고 있다고 믿으며 살아가지만
만약 하나님이 4차원에 산다면 , 그 3차원을 요리조리 다 볼수있고 더 높은 차원에서 계시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적이 있다.
대제사장이, 유다가 개인적으로는 옳지 못한 선택으로 예수님의 죽음이 이루어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건 태초부터 계획된 하나님의 섭리였다는 본문의 내용이
내 삶에도, 우리의 이 2021년 3월 17일 이날에도, 내가 때로는 옳던지 , 옳지 못하던지 하나님의 섭리라고 느끼는게 맞는건가?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2.3 진짜 내가 살아가는 삶이 하나님의 섭리인가
내가 20대 중반시절, 자주 들었던 질문은 "요즘 하나님과의 관계가 어때?" 인데,
지금 시점에서 이 질문에 답을 하자면 글쎄요. 계신건 알겠는데요. 요즘 그렇게 매일 매일 친밀한 교제를 하고 있진 않아요. 왜 그런가 생각을 해봤는데
내삶이 하나님이 쓰신다는 생각이 안드는거 같아서
내 삶이 그분이 원하시는 삶을 진짜 살아갈 수 있나? 내가 이 개미처럼 잠깐 살아가는 인생속에서 그분이 보시기에 어떻게 잘 살아갈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자주 든거같다.
오늘 운동 선생님이 "답답하지만, 하다보면 날개뼈가 움직이는 걸 느낄수 있을거에요"라고 말해줬는데
마치, "답답하지만, 살다보면, 하나님이 당신을 통해 얼마나 일하시는 지 알 수있을거에요"라는 말이 이루어지면 좋겠다.
내 삶의 작은 순간순간에 그분이 임재하시는 작은 포인트들을 느끼면서 살아가길,
그리고 하나님은 선하시며, 인자하시다는 것도 까먹지 말길
==
끝.
'묵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Q.T] 오늘묵상_5월1일( 창세기 15:1-11) (0) | 2021.05.01 |
---|---|
[오늘묵상] 부활절 묵상 (눅 24:30 ~ 35) (0) | 2021.04.04 |
[Q.T]오늘묵상_3월25일(마태복음27:57-66) (0) | 2021.03.26 |
[Q.T] 오늘묵상 _3월 1일 (마태복음 23:23〜28) (0) | 2021.03.02 |
201010 일기 (0) | 2020.10.10 |